1. 일반사항
1.1 관련도서
도면과 기타 계약도서의 내용을 포함하고 총직의 행당규정사항이
이적에 적용된다.
1.2 적용범위
일반적인 인조잔디 조성공사.
1.3 적용기준.
적용기준은 이절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절의 일부를 구성한다.
1.4 품질보증
제품의 하자 보증기간은 시공계약서에 명기된 기간으로 하며, 보증기간중
시공업체의 시공 부주의나 실수로 발생된 결함 및 손상은 시공업체의 책임하에
즉시 수정, 보수한다.
1.5 운송보관및 취급
- 자재의 운반, 상하차시 제품의 손상에 유의하고, 부품의 수량, 기호를
확인하여 시공순서에 맞게 적당한 장소에 적재한다.
- 자재의 보관은 가급적 습기가 적고 환풍이 잘 되는곳을 선정 보관한다.
- 자재을 옥외에 보관할 경우 빗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침입하지 않도록
보호재를 쒸우고 직사광선을 피한다.
1.6 현장작업조건
- 시공담당자는 인조잔디시공 장소의 여건을 답사하여 인조잔디시공 조건에
문제가 있을시 계약자에게 고지하여야 한다.
- 본 인조잔디시방서에 없는 사항은 일반적인 설치 시공에 준하여 시공한다.
2 자재 (인조잔디, 인공잔디)
2.1 인조잔디(인공잔디, 인조잔듸)
- 인조잔디(인공잔디)제품규격 및 사야서 참조.
- 인조잔디는 제조회사의 1등급제품으로 한다.
- 인조잔디는 평태안정성이 우수한 터프팅방식의 제품이어야 한다.
- 강한 풍우 및 직사광선에도 색상의 변화가 없어야 하며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제품이어야 한다.
-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함량이 기준치를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2.2 인조잔디접착제 (우레탄본드)
- 접착제는 인조잔디전용 우레탄본드를 사용하여야 한다.
2.3 쪼인테이프 (Joint Tape)
- 폴리에스터 + PVC코팅 처리한 0.045t이상의 타포린 (천막지)이어야 한다.
- 망사테이프(모기장모양)나 부직포 테이프 (기름종이 형식)
2.4 인조잔디 충진제
- 규사는 정재된 건조사이어야 하고
- 고무충진제는 친환경제품(SEBS칩)의 고무칩이어야 한다.
3. 인조잔디시공 관련사항
3-1 인조잔디(인공잔디) 자재의점검
- 인조잔디자재의 수량및 외관상태를 확인한다.
- 인조잔디자재의 외부손상이나 결점이 있을시 교체하여 인조잔디시공 준를
하여햐 한다.
3.2 지표면 작업 (평탄작업)
- 인조잔디시공 할 위치를 확인하여 포설 할 부위를 표시한다.
- 인조잔디시공 부위의 현장상태를 점검한다.
- 울퉁불퉁한 지표면이 있으면 시멘트를 뿌려준 후 요철상태및 다짐상태를
확인하여 평탄작업을 실시하고 문제점을 제거한다.
- 토목용(보온덮개)부직포를 포설하여 지반침하 및 변형을 최소화한다.
- 침수에 의한 지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타포린(천막지)을 포설한다.
3.3 인조잔디시공 (인공잔디시공) 준비 및 재단방법.
- 시공할 인조잔디를 시공현장으로 이동, 측면부에서 균일하게 펼친다.
- 인조잔디를 펼칠때 인조잔디결(누여있는 방향)을 정확이 확인하여
동일한 결(방향)을 시공한다.
- 인조잔디 이동시 무리하게 당기지 말아야 하며, 심하게 당길경우
치수변화 나 시공후 요철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 펼처놓은 인조잔디으 불규칙한 좌우측면을 먹줄(분줄)을 이용하여
인조잔디파일(털)위에 바르게 표시한 후 칼 또는 가위로 잘라낸다.
- 인조잔디시공을 시작하기 위하여 적정한 위치를 선정하여 시공방뱡으로
지표면(기반)위 일직성으로 먹이나 분(락카)등으로 표시하여 놓는다.
- 표시된 선에 맞추어 인조잔디를 펼친다.
- 펼처놓은 인조잔디 옆에 다른 롤의 인조잔디를 맞추어 펼친다.
3.4 쪼인(이음)작업.
- 인조잔디 와 인조잔디가 맞물리는 측면부위를 약 20㎝정도씩 접어 놓은뒤
중심라인을 표시한다.
- 표시된 중심라인를 따라 쪼인테이프(망사, 부직포, 타포린)를 깔아놓는다.
- 쪼인테이프 넓이는 상황에 따라30~50㎝위 규격으로 정한다.
- 쪼인테이프의 균일한 시공과 이동(움직임)방지를 위하여 상,하에 무거운것으로
고정시킨다.
- 쪼인테이프위에 일정량의 인조잔디접착제(우레탄본드)를 균일하게 뿌린다.
3.5 인조잔디시공
- 펼쳐놓은 인조잔디를 쪼인테이프(망사, 부직포, 타포린)를 중심으로 접착하여
쪼인(이음)작업을 한다.
- 중심부위에서부터 좌,우로 이동하면서 연걸부분이 쪼인테이프 중심에 가도록
유의한다.
- 특히 연결부위는 정확히 맞추어 접착하고, 틈새가 있거나 인조잔디가 들뜸현상이
있어서는 안된다.
- 연결접착이 완료되면 쪼인연결부위를 압착로러롤 반복하여 압착한다.
- 접착을 상온에서 하는것이 원칙이나 겨울철 저온상태에서는 보온을 한 후
인조잔디시공을 한다.
3.6 인조잔디충진(규사, 고무칩) 작업
- 충분히 건조된 규사를 배토기또는 배토기 리어커를 이용하여 인조잔디 사이사이에
고르게 펼친다.
- 포설된 규사를 빗자루 혹은 칼퀴로 평탕작업을 한다.
- 인조잔디 파일사이사이로 삽입된 규사는 사용한는 용도 또는 파일의 높이에 따라
완충 및 80%±5% 정도의 높이로 충진한다.
- 규사포설이 완료되면, 기반의 요철상태를 확인하고, 요철부위가 있으면 빗질이날
갈퀴로 수정작업을 하여 기반상태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4. 인조잔디 (인공잔디) 유지관리.
4.1 인조잔디유지관리
- 인조잔디 파일사이에 삽입된 규사는 약 1개월이상 지나야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으며, 시공후 약 1개월은 주 2~3회 사용하면서 지속적으로 빗질또는 갈퀴로
평탄작업을 하는것이 좋다.
- 여분의 건조사(규사)를 준비하여 요철이 생기는 부위에 살포하여 평탄작을
하면 더 좋은상태의 인조잔디구장을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이 인조잔디시공방법(인조잔디시방서)는 한그린산업에서 오랫동안해 본
인조잔디시공 경험을 바탕으로 포스팅한 글이며,
인조잔디셀프시공 이나 인조잔디시공업체에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인조잔디전문 한그린산업 042)582-9466
www.formjandi.com 010)3417-9466
http://hangreen.modoo.at 모바일홈페이지